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생활

심근경색증 제대로 알기 ( 원인, 증상, 예방, 치료, 합병증)

by 성장의시간 2024. 2. 22.
반응형

사진 : 픽사베이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활동합니다. 관상동맥의 구조상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지지 않습니다만, 고지혈증, 당뇨명, 고혈압, 흡연등에 의해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내의 혈소판이 활성화 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생진 혈전이 혈관의 70%이상을 막아서 심장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입니다.

심근경색증의 원인

다음의 경우 심근경색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령

▶흡연

▶고혈압 : 혈압≥140/90mmHg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경우

▶당뇨병

▶가족력 :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이하, 여자 65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그 외 : 비만, 운동부족 등

증상

▶가슴통증 : 대부분의 환자가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을 얘기하는데 이러한 증상 없이도 명치가 아프다 거나 턱끝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전형적으로 구역, 구토, 소화불량, 속쓰림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통은 호흡곤란과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왼쪽 어깨 또는 왼쪽 팔 안쪽으로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이 있을수 있고, 흉통의 경우 대개 30분이상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투여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습니다.

진단 

▶피검사, 심장초음파, 심혈관조영술로 진단할수 있습니다.

▶심혈관조영술은 경색혈관을 찾아서 협착 정도와 부위를 진단함과 동시에 비경색혈관의 협착 정도도 진단할수 있어서 확진 검사로 이용되며, 조영술 후에 심혈관성형술을 할수 있어서 치료에 바로 연결이 될수 있습니다.

치료

▶심근경색증의 치료는 크게 막힌 혈관을 넓히는 관혈적 치료와 이후 약물치료로 나뉩니다

스텐트삽입술 : 요골 또는 대퇴동맥을 통하여 심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막힌 혈관을 찾아낸 후 혈관 안으로 도관을 삽입하여 풍선 풍선으로 넓히고 스텐트라는 철망을 삽입하여 혈관을 수리하는 시술입니다.

▶관상동맥 우회술 : 심혈관 조영술 결과 심혈관성형술, 스텐삽입술을 시행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다혈관 질환일 경우에는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시술 후 약물치료 : 향후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며, 스텐트를 삽입한 경우 스텐트 혈전증을 예방하는것도 약물치료의 중요한 목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합병증 

▶심근경색증의 합병증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중요한 합병증으로는 협심증, 심부전, 급성 승모판 역류증, 금성 심실 충격 결손증, 심실빈맥, 심실세동 등을 들수가 있습니다. 최근 여러 병원에서 응금 심혈관조영술 및 심혈관성형술, 스텐트삽입술을 시행하여 경과가 많이 좋아졌지만 고령이거나 기본적으로 심기능이 저하된 경우 또는 당뇨나 만성 신장질환을 포함하여 위험인자가 3개 이상인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예방

▶금연

▶이상적인 체중 유지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

▶매일 30~40분씩 규칙적인 운동

▶저염식 식습관

▶충분한 수분섭취

▶신선한 과일과 채소 

 

심근경색은 철저한 예방이 필수이며, 이미 발생하여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도 생활습관 관리는 중요합니다. 심장에 다시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 심근경색으로 인해 심장 기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식이요법에 더욱 주의 해야 하며, 적절한 운동역시 꾸준히 해주어야 합니다.

 

 

반응형